'제재하다, 재제하다, 제제하다, 재재하다' 언뜻 보면,
'XX가 YY에게 무역 제재를 가했다'에서 사용하는 뭔가 금지하는 뜻으로 쓰이는 단어에 대한 맞춤법 오류들 같습니다.
내 근처 신속 항원검사 가능 병원 조회하기
그런데~ 네이버 국어사전을 보면, 이 모든 것들이 다 다른 뜻이 있습니다!!
위 4가지 중에 금지의 의미는 과연 어떤 것일까요?
1. 제재하다.

제재하다는 두가지 의미로 사용되는데, 가장 자주 사용되는 것은 아마도 금지의 제재입니다.
또 하나는 나무를 베어서 재료로 쓰기 위해, 손질하는 것을 제재라고 합니다.
어린 시절 동네에 하나씩 있던, 제재소(목공소)를 떠올리면 됩니다.
2. 재제하다.

재제하다 역시, 두가지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시 제품화한다는 의미의 재제하다 이외에는 거의 쓰는일이 없는 것 같습니다. (다시 제품화한다는 재제 역시 잘 들어보지 못했네요)
3. 제제하다.

아주 오래된 고어 또는 사투리라고 생각되는 '제제하다'의 의미입니다. 지금 5-60대 어르신들이 어릴 적 할머니한테 들어봤을 법한데요.
4. 재재하다.

재잘거린다에서 파생된 것인지는 불분명하지만, 수다스럽다는 의미 또는 책에 기록 또는 연재되다 할 때의 '재'의 의미로 사용되는 것 같습니다.
처음에 알고 싶었던, 금지의 뜻을 가진 것은 바로
'제재', '제재하다'입니다. 그 외의 표기가 있다면 다른 뜻을 잘못 사용한 것이 되겠죠?
한글은 워낙 역사가 유구하고, 방언에서 표준말로 자리 잡은 것들도 많기 때문에 웬만하면 뜻이 있습니다.
'재제, 제재, 재재, 제제'가 각각 다른 뜻을 가지고 있으니, 의미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쉽기도 어렵기도 한 알쏭달쏭 한글 맞춤법
안되면 안돼면 어떻게 구분해서 사용할까요?
안되면, 안돼면 둘 다 발음이 똑같다 보니 혼동해서 사용이 자주 됩니다. 그런데, 이 두 단어를 어떻게 구분해서 사용하는지는 잘 알지 못합니다. 안되면과 안돼면 어떻게 구분해서 사용하는지 알려드립니다. 가장..
crypto-wanderer.tistory.com
묻다 뭍다 헷갈리지 마세요~
묻다 뭍다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는 단어중에 하나입니다. 묻다의 사전적 의미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누군가에게 물어볼 때 사용하는 '묻다' 2. 옷이나 얼굴에 무엇인가 묻었을 때 사용하는
crypto-wanderer.tistory.com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회비 없는 후불 하이패스 카드 찾으시나요? (0) | 2019.06.24 |
---|---|
'바둑 세계랭킹'은 기준은 무엇일까요? (0) | 2019.06.15 |
휴대폰 '소액결제 현금화' 사기 또는 범죄 위험이 높습니다. (0) | 2019.06.03 |
'추정쌀', '추정미' 아니 '추청쌀'? 무슨 의미일까요? (0) | 2019.05.31 |
토스 제휴적금 해지방법 (0) | 2019.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