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마왕에서 컴퓨터 구매 전에 온라인 견적을 짤 수 있습니다.
컴퓨터에 익숙한 분들이라면 문제없겠지만, 컴퓨터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 중에
가성비 좋은 조립PC 생각하시는 분들이라면 한번 쓱 읽어보세요~
1. CPU 고르기
CPU는 사용 용도에 맞게 고르시면 됩니다. 고사양 게임(배그 정도?) 하는 것이 아니라면
저렴한 보급형 CPU로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인텔의 I3급이나 AMD라이젠 3 정도면 매우 무난합니다.
사무용으로 주로 쓰실것이면, 인텔 셀러론 / AMD 애슬론도 가능합니다.
2. 메인보드 고르기
메인보드 가격은 천차만별입니다. 가성비 PC 만든다고 무턱대고 싼 걸로 고르시면 안 됩니다.
메인보드는 CPU 제조사와 CPU 규격으로 구분됩니다.
AMD와 인텔이 사용하는 보드가 다르고, 같은 제조사 안에서도 CPU 규격에 따라 달라집니다.
메인보드 상세 분류에서 제조사와 규격을 선택한 다음에 골라주세요.
메인보드에서 RAM 슬롯과 그래픽카드 슬롯이 있는데, 고사양 게임을 풀옵션으로 돌리겠다 하는 것이 아니라면
RAM 슬롯 2개, 그래픽카드 슬롯 1개짜리 M-ATX로 고르셔도 됩니다.
3. 메모리는 같은 것으로 2개 끼는 것이 좋습니다.
16기가로 맞추실 것이면 8기가로 2개, 8기가로 맞추신다면 4기가로 2개입니다.
램은 삼성 것이 무난하고 좋습니다.
메모리에 DDRX과 PC-XXX라고 쓰여있는데, 구매하시는 것 둘 다 같은 숫자로 맞추시고, 숫자는 높을수록 좋습니다.
가격차이도 얼마 안 나니 높은 걸로 하세요.
4. 그래픽 카드
메인보드에 온보드 칩셋이라고 그래픽 칩셋이 대부분 있습니다.
요즘엔 그래픽 칩셋도 많이 좋아져서, 그래픽 카드가 없어도 4K 동영상 보는 데는 무리가 없다고 합니다.
초소형 또는 슬림 PC 만드실 것이면, 그래픽 카드가 m-atx 케이스에 호환되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게임을 좀 즐기신다면 그래픽카드 보급형이 10~20만 원 정도 합니다.
nvidia 기준으로 1050 또는 1650 이 정도도 옵션 타협만 하면 고사양 게임도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5. 파워 서플라이
가성비 PC의 파워는 5-600W 정도면 충분합니다.
그리고 정격파워와 실제 파워 차이가 없는지 확인하세요.
옛날에 하도 뻥 파워가 많아서, 요즘에는 컴마왕이나 컴퓨존에서 테스트 후에 제품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같은 파워인데 가격차이가 나는 것은 일단 파워에 달린 전기선 숫자가 다릅니다.
컴퓨터 안에 냉각 쿨러, 2개의 그래픽 카드, ssd 여러 개 달지 않는다면 600w 정도로 저렴한 것으로 고르셔도 됩니다.
파워 고를 때, 케이스 크기를 꼭 확인하세요. m-atx 케이스에 atx 파워 설치 못합니다. ( 그 반대도 마찬가지)
6. 쿨러는 안 골라도 됩니다.
오버클럭 할 것 아니면, CPU 구매 시 들어가 있는 쿨러로 충분합니다.
7. 조립 PC는 윈도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윈도우 시리얼 어디서 구할 수 없는 분이라면, OS 정품 구매하거나
그냥 대기업 PC 사시기 바랍니다.
윈도우에서 DSP와 처음 사용자용 있는데, DSP는 좀 싼 대신 1회용입니다.
8. 조립비 내고 조립하는 거 추천합니다.
컴퓨터 조립하면 부품 조립도 조립이지만, 선정리가 가장 헬입니다.
컴마왕 기준 35000원 내고 그냥 조립 신청하시면, 깔끔하게 옵니다.
9. 온라인 견적은 반드시 1:1 견적 상담을 통해 체크하세요
컴마왕에 일하시는 분들은 컴퓨터 전문가입니다. 열심히 견적을 내도, 문제가 있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그리고 어떤 용도로 사용할지 / 목표 가격대에 대해서도 기재하면, 적당한 사양 조정도 해줍니다.
조립 PC도 여러 번 구매해보면, 점점 눈에 보이는 자기만의 선택법이 생깁니다.
머리 아프고 결정 장애가 있다면? 그냥 견적 상담 또는 목적 / 가격별로 미리 추천하는 제품으로 구매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it야 게섯거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피스24가 없어졌어요!! (0) | 2019.09.05 |
---|---|
다뷰인디 에러 메시지 대처방안 소개 (0) | 2019.09.04 |
인터넷 익스플로러 인터넷 도구창 문제 해결 (0) | 2019.09.03 |
반디컷 환불하기 (0) | 2019.09.03 |
7z 압축풀기 가능한 툴 소개 (0) | 2019.09.02 |